소화기내과 김승희 과장
속쓰림의 진단과 치료
2025-03-17
속쓰림이 있어 병원에 내원하면 환자분들은 흔히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진단받고 위산을 억제하는 치료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에게서는 역류성 식도염에 대한 경험적인 약물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위산 역류로 인해 식도 산 노출이 있는 경우라면 위산을 낮추는 치료로 속쓰림 증상이 호전되지만, 산 노출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위산을 낮추는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속쓰림을 주 증상으로 호소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역류성 식도 질환, 비미란성 역류 질환, 역류 과민증, 기능성 속쓰림 등이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 질환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점막을 손상시키는 질환으로, 내시경에서 식도 점막 손상이 확인되면 미란성 식도염, 정상이라면 비미란성 역류 질환으로 구분합니다. 역류성 식도 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은 속쓰림과 산 역류이며, 기침, 쉰 목소리, 인후염과 같은 비전형적인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칼륨 경쟁적 위산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