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컨텐츠내용 프린트하기 링크 주소복사

뉴스 내용시작

Mutivitamin Inj(MVH)에 의한 Anaplylactoid Reaction

작성일 19-11-26

 환자정보

 이ㅇㅇ, 51/F, Torsion of ovary, ovarian pedicle and fallopian tube

 

  

ADR 정보

 

 

 보고일

 2019년 7월 19일

 이상반응증상

 dyspnea, nausea

 의심약물

 MVH Inj(retinol palmitate etc- multivitamin)

 병용약물

 Dicknol Inj(diclofenac)

 

 ADR 발현 경위 및 경과

상기 환자는 Torsion of ovary, ovarian pedicle and fallopian tube로 OP를 위해서 OBGY로 입원하여 2019년 7월 17일에 수술한 분입니다. 수술 후 입원 치료 중 2019년 7월 19일 18시 06분경 headache 및 cold 증상으로 Dicknol Inj(diclofenac) 1A Inj 후 19시 14분경 dyspnea, nausea 증상을 호소하여 투여 중이던 PCA를 일단 중단하고  산소 2L 주고 산소 포화도 검사시 96%-99% check되었고, macperan 1A를 처치한 후 증상이 호전되는 듯 했으나, 이후 20시 59분경 다시 증상을 호소하였습니다. 환자가 과거 Vit. mix된 fluid를 맞고 똑같은 증상을 느꼈다고 하여 투여 중이던 MVH mix된 fluid를 바로 중단하고 산소 공급한 후 21시 08분경부터 증상이 호전되어 그 이후에는 증상이 더이상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Assessment

 1. 문헌조사

Mutivitamin Inj에 대해 Anaphylaxis 및 Anaphylactoid Reaction 발생이 보고되어 있으며(MVH의 국내 허가사항 상 이상반응 참조), 몇몇 보고에서는 Mutivitamin 주사제의 유화제로 쓰이는 polysorbates 80 이 Anaphylaxis의 원인이 된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지 Vol. 29, No. 3, Sep.,2009 참조)

 2. 병용약물

 PCA, Dicknol Inj(diclofenac) 1A Inj

 3. 상호작용

 

 4. 인과성평가

 상기 증상은 문헌상 MVH 성분(multivitamin)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Anaphylactoid reaction)으로, 유사한 약제에 의한 과거력이 있고, 해당 약제 및 PCA, Dicknol Inj(diclofenac) 투여 후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PCA, Dicknol Inj(diclofenac) 중단 후에도 증상이 다시 나타났다가 해당 약제의 투여 중단 후 증상이 더이상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약물 투여와 증상 발현의 선후관계가 합당하며, 중단 후 명확한 호전 경과를 보인 점으로 볼 때 의심약제로 인한 이상반응의 가능성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해당 약제는 흔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제이며, 원인 가능성이 있는 성분인 polysorbates 80은 영양제, 백신, 항암제 등의 다양한 주사제들과 크림, 로숀 등의 의약품에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어 추후 Mutivitamin 주사제 처방 및 polysorbates 함유 약제 사용시 주의와 관찰이 필요할 것로 보입니다.

 심각도

허가사항

 병리기전

 Moderate

 기반영

Anaphylactoid reacion 

 

 인과성평가

 WHO 평가

한국형 알고리즘

Naranjo 알고리즘 

Probable/Likely

 

Probable 

Prob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