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약물부작용 보고현황 : 2021년 11월~2022년 11월(13개월)
가. 보고건수 : 551건/13개월 = 42.4건/월 (직전 15개월 : 39.5건/월)
나. 분류별 : AST(116건), 과거력(88건), 현증(347건)
다. 이상반응별 : 피부병변(232건), 호흡기계(30건), 소화기계(43건), 심혈관계(14건), 혈액이상(0건), 전신증상(21건), 기타(-건)
라. 심각도 : serious(4건), not serious(343건)
1) 뮤렉스(eperisone) : 후두부종 - 약물유발검사
2) 아스피린프로텍트(aspirin) : 전신두드러기, 혈관부종, 저혈압 - 약물유발검사
3) 트리악손(ceftriaxone) : 혈압저하, 전신 skin rash, nausea, vomiting
4) 셉트린(sulfamethoxaxole/trimethoprim) : 전신발적(SJS)
마. 인과관계평가(naranjo algorithm) : 가능성적음(0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68건), 충분히 가능성 있음(271건), 거의 확실(2건)
바. 부서별 : RD(205건) > 5A(29건) > 7B(21건) > 6A, ERWD(10건) > NR(8건)
사. 약품별 : 조영제(226건) > 항생제(47건) > 진통제(45건) > 기타(26건)
2. 약물부작용 보고현황 분석
가. 요오드화 조영제 보고건수는 이오메론 88건>보노렉스 80건>제네틱스 25건 순. 사용량 대비 각 0.01% / 0.015% / 0.000025%로 보고됨 → 보노렉스에서 이상반응 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나며, 제네틱스에서 발현률이 낮음
나. 가돌리늄 조영제 중에서는 유니레이의 보고율이 높은 편
다. 항생제 보고건수는 레포신 9건, 제노세프 9건, ceftriaxone제제 3품목 9건 보고. 대부분 피부과민반응 관련 증상이었으나 특이적으로 레포신 투여 후 심계항진 2건 보고 / ceftriaxone 제제에서 부정맥 1건, 호흡곤란 3건 보고
라. quinolones, cephalosporins 제외하고 트리젤(metronidazole) 3건 보고(구역/구토, 호흡곤란)
마. 셉트린(sulfamethoxazole/trimethoprim) 투여환자에서 피부점막안증후군(SJS)이 나타나 타 병원 전원됨. 의약품피해구제제도 유선 안내.
바. 진통제 보고 45건 중 트리돌(tramadol) 28건 보고. 그중 27건이 구역/구토, 어지러움 관련 보고이며 특이적으로 호흡곤란 1건 보고 됨. 호흡곤란은 생리적 반응으로 용량의존적인 부작용으로 평가
사. 진통제 중 아큐판(nefopam) 3건 보고. 매 보고시 다양한 이상반응(두통, 식은땀, 어지러움)이 보고되어 추적관찰중임.
아. 마약성 진통제 중 뉴신타(tapentadol)로 인한 구역/구토, 어지러움 3건 보고
자. 기타 약제 중 암브록솔(ambroxol) 8건 보고. 호흡곤란 4건, 어지러움 2건, 가슴답답, 두통, 고혈압, 식은땀, 목 간질거림, 기침 등 다양한 양상으로 보고되고 있음
차. 경구약제가 동시 투여되어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 원인 약제 확인을 위해 알레르기내과 협진을 통한 원인 약물 파악이 필요함
카. 과거력이 있는 경우 재투여시 이상반응 발현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 증상 또한 심각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과거력 관리가 필수적이나 현재 업무프로세스 상으로는 관리가 미흡하여 프로그램 개편 필요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