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면 여기저기서 콜록콜록거리는 기침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대부분 기침은 감기, 독감 등의 급성 호흡기 감염질환이나 찬 바람에 의해 점막이 과민해져 일시적으로 발생하지만, 간혹 한두 달이 되도록 기침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심한 기침을 억제하기 위해 강력한 진해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원인 질환의 발견을 늦출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복용해야 한다. 기침약 ‘진해제’의 사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봤다.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기침은 우리 몸의 방어기전 중 하나로, 기도에 이물질이나 병원균 등 해로운 물질이 있을 때 이를 몸 밖으로 배출해 내기 위한 필수적인 반사 작용이다. 감기로 인한 기침은 보통 3~8주간 지속된다. 그런데 기침 증상이 8주를 넘어가면 이를 만성 기침으로 분류한다.
만성 기침의 원인은 감기, 감기로 인한 합병증뿐만 아니라 폐렴, 천식, 폐기종, 결핵, 역류성 인후두염 등의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한다. 천식성 기침은 한국인에서 매우 흔하다. 숨차고 쌕쌕 거리는 증상이 동반되어 있거나 폐기능, 기도 염증 등 천식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확인된 경우 진단을 고려하게 된다. 의외로 위산이 역류하는 역류성 인후두염도 만성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기침이 수주 지속되고 속쓰림 등 전형적인 산 역류 증상이 동반된다면 위식도 역류질환에 의한 기침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만성 기침은 폐질환이나 복용하는 약물, 흡연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원인 모를 난치성 만성 기침도 존재한다.
만성 기침은 기침을 억제하는 진해제만으로 정상화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기침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원인을 제거하는 치료가 우선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거나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에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기침 억제 치료가 필요하다.
가래를 동반한 기침에 진해제 복용하면 안돼
우리가 흔히 먹는 기침약을 진해거담제라고 한다. 진해거담제는 사실 진해제와 거담제, 두 성분이 복합된 약물이다. 진해제는 기침을 멈추게 하고, 거담제는 가래를 없애는 기능을 갖고 있다. 두 성분을 따로 쓰기도 하지만, 기침과 가래가 가지는 연관성 때문에 같이 포함된 제품들이 많이 사용된다.
진해제의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덱스트로메토르판, 노스카핀, 메틸에페드린 등이 있다. 이러한 진해제를 복용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다. 바로 가래의 유무다. 가래를 동반한 습성 기침에 기침만 멈추는 진해제를 복용하게 되면, 생성된 가래를 몸 밖으로 배출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하기도에 배출되지 않은 분비물이 축적되면서 2차 세균감염, 기도폐색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기침을 멎게 하는 진해제보다는 가래를 없애는 거담제를 우선 사용해야 한다.
‘이런 사람’은 기침약 복용 삼가야
기침약에 들어있는 성분별 주의사항이 있다. 덱스트로메토르판의 경우 혼란, 흥분, 과민성, 긴장감 등의 중추 신경계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천식 환자는 덱스트로메토르판 복용이 불가하며, 항우울제, 항정신병제, 항파킨슨제 등을 복용하고 있거나 복용을 중단한 후 14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 된다.
메틸에페드린의 경우 불면증,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는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한방약제 중 마황이 들어간 약제와 병용하면 불면증이 더 심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거담제는 가래를 제거하는 약물이다. 가래가 잘 배출되게 하거나 가래의 생성 또는 점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대표적인 거담제 성분으로는 구아이페네신, 카르보시스테인, 아세틸시스테인, 브롬헥신, 소브레롤, 암브록솔 등이 있다.
진해제 중 일부는 졸음을 유발할 수 있어 복용 시 기계류의 조작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복용 후 진한 황록색의 가래가 나오거나 열이 38.5도 이상 오르는 경우, 체중이 감소하거나 피가 섞인 가래가 나온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일부 거담제는 입을 마르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