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건강정보

컨텐츠내용 프린트하기 링크 주소복사

뉴스 내용시작

‘미세플라스틱’ 검출된 의외의 음식 5..."사과에도 다량 검출" 새글

작성일 25-05-15

최근 미세플라스틱(지름 5mm 이하의 고체 플라스틱 입자)이 혈관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되면서 그 위험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미국 뉴멕시코대 로스 클라크 교수 연구팀은 2025년 4월 미국심장협회(AHA) 학술회의에서, 뇌졸중이나 일과성 뇌허혈 발작을 경험한 환자의 경동맥 플라크에서 초미세플라스틱이 일반인보다 무려 51배 더 많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문제는 우리가 건강식이라고 믿고 먹는 음식들조차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돼 있다는 점이다. 미세플라스틱은 혈관 속에 서서히 축적되며 염증과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평소 섭취하는 음식을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크기가 1 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미터) 이하인 플라스틱 입자를 초미세플라스틱 또는 나노플라스틱이라고 한다 | 출처: ChatGPT 이미지 생성

일반적으로 크기가 1 마이크로미터(μm, 100만분의 1미터) 이하인 플라스틱 입자를 초미세플라스틱 또는 나노플라스틱이라고 한다 | 출처: ChatGPT 이미지 생성


미세플라스틱, 심각한 건강 위험 초래할 수 있어

로스 클라크 박사가 진행한 이번 연구는 48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경동맥 플라크와 미세나노플라스틱의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체내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동맥 질환의 심각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됐다. 증상이 나타난 환자군의 플라크에서는 그램당 2,888마이크로그램의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된 반면, 건강한 경동맥 조직에서는 그램당 불과 57마이크로그램만 검출됐다. 연구진은 미세플라스틱이 단순히 염증을 유발하는 것을 넘어 더 복잡한 생물학적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은 그동안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제기되어 왔으며, 많은 전문가들이 그 유해성에 대해 꾸준히 경고해왔다. 일례로, 종양내과 전문의 필립 쿠리아코스(Philip Kuriakose) 박사는 2024년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와의 인터뷰에서 일상 속 미세플라스틱 노출이 가져올 수 있는 건강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미세플라스틱은 섭취나 흡입, 때로는 피부를 통해 체내에 유입되며, 알레르기나 자가면역 질환, 천식, 과민성 대장 증후군뿐 아니라 생식능력 저하와 암 발생 위험까지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상 속 숨겨진 미세플라스틱 음식 5


1. 쌀

일반 쌀 100g당 3~4mg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반면, 즉석밥에서는 그 양이 약 4배 많은 13mg이 검출되었다고 퀸즐랜드 대학교(UQ) 연구진이 밝혔다. 2021년 미국 유해물질 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발표된 이 연구는 생활 패턴 변화로 즉석식품 소비가 늘어나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건강 이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 티백

2019년 9월, 몬트리올 맥길 대학교 연구팀은 플라스틱 재질 티백이 뜨거운 물과 접촉했을 때 방출하는 미세플라스틱의 충격적인 양을 발견했다. 미국 환경 과학 기술 학술지에 발표된 이 연구에 따르면, 95°C 물에 담긴 단일 티백 하나가 약 116억 개의 미세플라스틱과 31억 개의 나노플라스틱 입자를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수병 등 다른 식품에서 보고된 플라스틱 입자 수치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3. 사과

사과에서는 그램당 평균 195,500개의 미세 및 나노 플라스틱 입자가 검출되었다. 카타니아 대학 연구진이 2020년 환경 과학 보건 학술지 Environmental Research에 발표한 이 연구는 사과의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배(그램당 189,500개)보다도 높다고 보고했으며, 과일 나무가 토양 속 미세플라스틱을 더 오랜 기간 축적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4. 소금

인천대학교 김승규 교수 연구팀과 그린피스 동아시아 지부는 2018년 10월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발표한 연구에서 전 세계 39개 소금 브랜드를 분석한 결과, 90% 이상의 샘플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고 밝혔다. 특히 아시아에서 생산된 소금과 천일염에서 가장 높은 오염 수준이 나타났으며, 이는 주변 환경 오염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5. 껌

올 4월에는 껌에 관한 미세플라스틱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 미국 유해물질 학술지에 게재된 퀸즈 대학교 벨파스트 연구팀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 시간 동안 껌 한 조각을 씹은 참가자의 침에서 25만 개가 넘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연구팀은 0~20분, 20~40분, 40~60분 간격으로 샘플을 채취했으며, 모든 샘플군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


미세플라스틱 노출 줄이는 생활 수칙

미세플라스틱은 이미 우리 식탁 위 건강식품에도 광범위하게 침투한 심각한 공중 보건 위기로 자리 잡았다. 영양사 재닛 본드 브릴(Janet Bond Brill) 박사는 2024년 초 생물의학 연구 국제 학술지 Nature Medicine에 발표된 연구를 인용하며, 식이를 통한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줄이기 위한 주요 조치로 "과다하게 가공된 식품을 피하고, 플라스틱 포장을 피하며, 플라스틱 도마 대신 나무 도마를 사용하고 플라스틱 식기 사용을 피할 것"을 조언했다. 정부와 산업계 차원의 규제 강화와 함께 개인의 생활 습관 변화가 이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으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핵심 방안이 될 것이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