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원내외 처방중재 결과분석
처방중재기간 | 2020년 7월 1일 ~ 2020년 7월 31일 | |||||||||||||||||||||||||||||||||||||||||||||||||||||||||||||||||||||||||||
중재건수(건) |
| |||||||||||||||||||||||||||||||||||||||||||||||||||||||||||||||||||||||||||
중재 유형별 분류(건) |
| |||||||||||||||||||||||||||||||||||||||||||||||||||||||||||||||||||||||||||
외래/입퇴원 분류(건) |
| |||||||||||||||||||||||||||||||||||||||||||||||||||||||||||||||||||||||||||
분석결과 (특이사항) | ● 중재건수 373건으로 일평균 12건 중재(전월 : 10.2건) : 중복처방 관련 중재, 원내외변경 관련 중재 건수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중복처방관련 처방 변경률은 74%로 유형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임 ● 피레스파 200mg 배수처방 → 상반기 심의에 피레스파 2~3정을 사용하는 경우 약제비 부담이 있다고 하여 피레스코 400mg, 600mg이 도입되었으나 피레스파 배수처방에 대하여 피레스코로 처방중재가 실패함. ● 타과 or 타 병원약과 중복처방 24건에 대해 중재가 실패하였음. 불필요한 약제비 증가 및 부작용 발생 우려 ● 마약/향정 처방 가능일수를 초과하는 처방 중재 8건 시행 => 처방기간 초과 시 경고창이 띄워지도록 원내 전산이 수정되어 8월부터 적용됨. 8월 중재건수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 ● fluid mix가 불가하고 IV, IM, SC만 가능한 주사제(트롤락, 염산모르핀 등)에 대하여 정보제공 및 전산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와르파린의 경우 원하는 처방용량에 따른 제형별(2mg, 5mg) 용량지원을 위하여 진료부, 간호부에 자료를 제공했으나 처방시마다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음. 와파린 처방량에 따라 전산상 용량 변환 지원이 되면 좋을 것으로 보임. ● Prokinetic agent(가스모틴, 가나칸, 레보프라이드 등)에 대한 중복처방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 보험정보 및 처방가이드를 진료부에 제공할 예정. |
성가롤로병원 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