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건강정보

컨텐츠내용 프린트하기 링크 주소복사

뉴스 내용시작

나이 들면 아침잠이 사라진다고?...심하면 '질환' 의심해야

작성일 24-01-12

흔히 '나이가 들면 잠이 없어진다'라는 말을 한다. 이는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노화는 우리 몸속 생체시계에 영향을 끼쳐 밤낮을 구별해 신체리듬을 조절하는 능력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잠자는 시간이 짧아지고 아침잠이 없어진다. 하지만 노년층의 불면증은 단순 노화가 아닌 다른 내과적 질환이나 만성질환의 신호가 되기도 한다.


나이가 들면 잠이 없어지는 것은 노화에 의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때로는 질병의 신호가 되기도 한다ㅣ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노화로 멜라토닌 분비 감소, 수면 생리 불안정하면 만성 불면증으로 이어져
노년이 되면 잠의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의 감소로 일찍 자고 일찍 깨는 현상이 나타난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으로 잠자기 두 시간 전부터 분비량이 늘어나고, 해가 뜨면 줄어든다. 멜라토닌은 뇌 속 송과체에서 분비되는데, 나이가 들어 송과체가 퇴화하면 멜라토닌 분비량도 줄어든다. 멜라토닌이 빨리 사라지기 때문에 이른 새벽에 잠에서 깨는 것이다.

또한 노인이 되면 서파 수면이 현저히 떨어져 노인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논-램'이라는 4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수면 구조가 정상인 사람은 논-렘에서 렘으로 이어지는 주기를 하룻밤에 4~6회 반복한다. 논-렘 단계는 '서파 수면'이라고도 하는데, 낮에 있었던 여러 가지 사건으로부터 의미를 끌어내고 정리한다. 뇌의 해마는 서파 수면을 통해 온갖 사건에 대한 기억을 정립하고 같은 맥락 속에서 파악한다. 서파 수면은 절차와 관련된 기억을 뚜렷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청년기 수면의 20%를 차지하던 서파 수면은 중년에 이르러 3%를 조금 넘기는 수준으로 떨어진다. 그렇게 되면 수면을 통한 신체적, 정신적 회복이 더뎌지고 수면 중 각성 빈도가 증가한다. 수면 생리가 불안정해지면 다양한 수면장애의 발생 빈도도 높아진다. 노인 고유의 수면-각성 주기가 실제 생활과 일치하지 않으면 수면의 질 저하와 만성 불면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신체 질환으로 잠들지 못하는 노인, 잠꼬대 심하면 파킨슨병 의심해야
노년층은 통증·호흡계 질환·심혈관계 질환 같은 다양한 신체적 문제로 인해 잠에 쉽게 들지 못하거나 잠에서 자주 깨기도 한다. 관절염 등의 퇴행성 질환이 있다면 통증으로 인해 잠을 못 이루기도 하고, 전립선 질환이나 과민성 방광 등의 문제로 인한 야간뇨나 빈뇨로 잠을 설칠 수 있다. 이런 질환이 있는 노인은 잠을 깊게 자기 힘들고 잠이 들더라도 자주 깨는 수면 분절을 겪게 되어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 이 외에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사지운동장애 등 수면 관련 질환을 앓고 있을 때도 수면장애를 겪을 수 있다.


다른 질병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에도 불면증이 초래될 수 있다. 일부 우울증 치료제, 기관지 확장제, 베타 차단제, 중추신경자극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은 불면증을 유발한다. 반대로 수면 과다를 초래하는 약물을 갑자기 중단하는 경우에도 불면증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노년층에서 불면증이 지속되면 무작정 수면제를 복용하기보다는 원인을 찾아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잠꼬대를 심하게 하는 노인이라면 치매나 파킨슨병과 깊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미국수면의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에 따르면 렘수면행동장애가 있는 건강한 환자 29명 중 38%가 치매·파킨슨병 등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진행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원래 렘수면 동안에는 뇌간 안에 운동마비 조절 부위가 작동돼 움직임이 없이 숙면을 취하는 것이 정상인데, 뇌간에 질환이 있거나 뇌간에 운동 조절이 문제가 되는 파킨슨병의 경우 렘수면 동안 정상적인 운동마비 기능이 저하돼 수면 중 심한 잠꼬대나 움직임이 야기된다. 이러한 잠꼬대나 렘수면행동장애는 조기에 진단하면 치료가 가능하므로 노인에게서 잠꼬대나 수면 중 이상행동이 많아진다면 치매나 파킨슨병 전조 증세로 이해하고 빠르게 병원을 방문해 치료해야 한다.

불면증 원인부터 해결...규칙적인 수면 시간 지켜야
노인 불면증 등 노년기 수면장애 치료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우선 스트레스·우울증 같은 심리적·정신적 문제가 있으면 불면증의 원인이 된다. △불규칙한 생활습관 △자주 또는 오래 누워 있는 습관 △복용하는 약물 △과도한 카페인 섭취 △음주 △흡연 등도 불면증에 영향을 미친다. 잠을 자려고 수면제를 오남용하거나 장기 복용하면 낙상, 인지 장애, 섬망, 치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여러 가지 비약물적 불면증 치료 중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침실 점검이다. 침실의 온도를 적절하게 하고 충분히 조용하며 어두운 상태로 유지하기만 해도 불면증 해소에 도움이 된다. 침실은 수면을 할 때만 이용하는 것이 좋다. 만약 잠이 오지 않는다면 침실 밖으로 나가 복식 호흡, 요가 등의 가벼운 운동을 하면 숙면할 수 있다.

규칙적인 수면시간도 중요하다. 매일 5~6시간 정도 규칙적으로 자는 것이 좋다. 특정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시간에 일어나면 생체 시계도 서서히 이에 적응한다. 수면은 우리 몸의 생체 시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면 및 기상 시간이 불규칙하면 잠들기는 더 어려워진다. 일찍 일어났다고 억지로 낮잠을 청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낮 시간의 활동량을 늘려 밤에 깊은 잠을 자는 게 좋다. 낮에 충분히 햇볕을 쬐면 멜라토닌이 생성돼 수면주기를 정상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