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날씨에 외출할 때는 중무장을 해야 한다. 두터운 롱패딩을 입고, 내복을 입는 사람도 많다. 한 겹 더 입는 것뿐인데 효과가 있을까 반신반의할 수 있지만, 내복을 입으면 체온이 3도에서 6도까지 올라간다. 또 두꺼운 옷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겹 입는 것이 몸의 보온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연구도 존재한다.
내복은 왜 따뜻할까?
우리 몸은 체온을 36~37도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더우면 땀을 흘려 체온을 낮추고, 추우면 몸을 떨리게 하여 열을 낸다. 하지만 외부 온도가 너무 낮으면 몸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한계가 생겨 옷을 입어 추위를 막아야 한다. 내복은 외부의 한기를 막을 뿐 아니라 몸에서 나는 열을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보온 내복의 효능은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어떤 옷이든 옷감 부피의 60~90%는 공기가 차지하는데, 내복에는 이를 구성하는 ‘정기 공기층’이 많다. 보온 내복은 원단에 솜을 넣어 정기 공기층을 늘려 보온효과를 증가시킨다. 솜을 넣어 엠보싱을 만들기에 두께감이 꽤 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기능성 소재를 바탕으로 한 얇은 발열 내의가 인기를 끌고 있다.
얇고 가벼운 기능성 발열 내의, 효과 있을까?
발열 내의는 티셔츠처럼 얇지만, 특정 조건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인공 소재로 만들어져 체온 유지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흡습 발열 내의’가 있다. 주로 레이온, 아크릴과 같은 특수 인공 섬유를 사용해 만드는데, 이 섬유들은 수분을 잘 흡수하고 머금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을 잘 빨아들인다. 수분을 머금은 섬유는 우리 체온에 의해 데워지고, 그 섬유가 우리 몸을 다시 따뜻하게 하는 원리다. 이 때문에 땀이 별로 없거나, 움직임이 없는 사람이 흡습 발열 내의를 입으면 효과를 별로 보지 못할 수 있다.
신체의 복사열을 이용하는 발열 내의도 등장했다. 알루미늄 호일을 연상시키는 신체열 반사 섬유인 ‘옴니히트’를 활용한 내의다. 이 소재는 은과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섬유에 코팅하거나 도금한 것이 대부분이다. 몸에서 나오는 열을 반사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고, 불필요한 습기나 땀은 밖으로 배출해 쾌적함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태양열을 이용한 발열 내의도 등장했다. 바깥에서 전달되는 열이 몸에 보온 효과를 주기에 야외 활동이 많은 사람이 입으면 좋다.
내복, 현명하게 구매하려면?
내복의 재질과 종류가 다양해진 만큼, 사설 업체의 판정 기준을 바탕으로 거짓 효과를 내세워 홍보하는 제품이 간혹 존재한다. 또, 일부 제품은 발열 기능이 없음에도 ‘히트’라는 이름을 사용해 소비자를 현혹하기도 한다.
발열 내복을 구매하고자 한다면, ‘소재’와 ‘라이프스타일’을 잘 확인해야 한다. 레이온과 아크릴 등의 발열 소재가 사용되었는지, 혹은 다른 특수 기술이 사용되었는지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일례로, 평소 신체 활동량이 많고 땀이 많은 체질이라면 레이온, 아크릴 등으로 만들어진 흡습 발열 내의를 선택하는 식이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