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안에 음식물이 들어오면 여러 단계를 거쳐 위로 들어간다. 먼저, 음식물을 씹고 분쇄한 다음, 혀가 음식물을 구강의 뒤쪽으로 내려보낸다. 이후 음식물이 인두를 통해 식도로 내려가고, 연동운동을 통해 식도에서 위로 운반된다. 대부분의 사람은 각 단계에서 어려움 없이 음식물을 삼킬 수 있다. 그러나 ‘삼킴장애’가 있을 경우, 음식물은 물론 물을 삼키는 것도 어려울 수 있다.
삼킴장애, 이럴 때 의심해야
삼킴장애란 음식물을 씹고 삼키는 과정에 문제가 생긴 상태로, 음식물이 위까지 이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기도의 상부나 폐로 음식물이 들어가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음식물을 씹고 삼키기 어려움 △삼킴 시작이 어려움 △식사 중 침 흘림 △삼킴 지연 △삼킨 후 목에 이물감 △삼킬 때 사레들림 △식사 중이나 식후 목 메임 △식후 목소리 변화 등의 증상이 잦으면 삼킴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뇌졸중, 후두암, 노화 등 원인 다양해
삼킴장애는 크게 기능적 삼킴장애와 기질적 삼킴장애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적 삼킴장애란 삼킴 운동과 관련된 부위의 기능이 손상된 것으로, 대표적인 원인질환에는 뇌졸중, 파킨슨병, 뇌성마비, 외상성 뇌 손상 등이 있다. 기질적 삼킴장애는 삼킴 운동과 관련된 부위가 수술적으로 제거되어 형태가 바뀌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후두암, 구강암, 설암 등이 기질적 삼킴장애의 주원인 질환으로 꼽힌다. 이 밖에도 잘 맞지 않는 보철물, 치아 문제, 목감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노년층의 경우에는 질병 없이 삼킴장애가 생기기도 하는데, 바로 ‘노화’ 때문이다. 노년층에서는 구강 인두의 노화나 장기간의 신체활동 감소로 생기는 탈 조건화 등에 의해 삼킴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삼킴장애, 치료 미루면 ‘영양부족, 폐렴’ 불러
삼킴장애는 심한 경우 탈수상태나 영양부족상태에 빠지기 쉽고, 음식물이 기관지로 들어가면서 폐렴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삼킴장애 의심증상이 지속될 시에는 반드시 병원을 찾아 진찰과 검사를 받아야 한다. 특히, 뇌졸중, 후두암 등의 원인질환을 앓고 있거나 노년층인 경우에는 평소 의심증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잘 살펴야 한다.
삼킴장애가 의심되면 먼저 물을 마시는 것으로 기능을 확인해볼 수 있다. 물(3cc)을 5초 이내에 사레 없이 삼키고, 삼킨 후 쉰 목소리, 호흡 변화 등 삼킴장애 의심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정상이라 할 수 있다. 또 반복 침 삼키기 검사, 음식물 검사 등을 통해 삼킴장애를 선별할 수 있다. 삼킴장애를 평가?진단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투시 삼킴 검사, 삼킴 내시경 검사 등이 사용된다.
삼킴장애는 원인질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며, 원인을 치료하면 대부분 자연스럽게 호전된다.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식사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사할 때 바른 자세는 머리를 앞쪽으로 약간 숙이고, 턱을 당겨 90도로 앉은 자세다. 이 외에도 혀, 구강 주위 근육의 근력 훈련, 기침 훈련, 간접,직접 삼킴 훈련 등을 통해 증상 완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치료 시에는 영양실조를 막기 위해 영양섭취를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식물의 끈끈한 정도는 검사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보통 삼킴장애의 초기에는 점도가 높은 음식이 안전하다. 필요한 경우에는 비위관 영양, 경피적 내시경적 위루관 영양 등 간접적 영양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