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문의칼럼

컨텐츠내용 프린트하기 링크 주소복사

뉴스 내용시작

심장 이식형 전자기기 (CIEDs, Cardiac Implantable Electronic Devices) 치료의 현재

작성일 25-08-21
진료과 순환기내과
작성자 임영민 과장

개원이래 2025년 6월까지 성가롤로병원 순환기내과의 CIED 시술은 1,000례를 돌파하였습니다. CIED 란 심장 이식형 전자기기의 줄인 말로 심박동기(Pacemaker), 이식형 제세동기(Implantable Cadioverter-Defebrillator), 심장 재동기화 치료기(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를 일컫는 단어로 이런 기기들은 서맥성 부정맥, 심실 빈맥/심실 세동, 좌각 차단을 동반한 심부전의 치료 및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000례라고 하면 상급 종합병원 부정맥 센터의 규모엔 미치진 못하지만, 수도권 집중화 시대의 지방 병원이란 배경에 미뤄볼 때 의미 있는 수치라 하겠습니다. 


본 칼럼에선 실제 본원에서 이뤄지고 있는 이러한 심장 이식형 전자기기 시술의 최신 경향에 대해 간단히 서술하려고 합니다. 그 핵심은 심장 전도계 조율, 무전극선 조율, 원거리 모니터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외에도 이 분야에는 피하 삽입형 제세동기, 자동화된 항-빈맥 조율 (Anti-tachycardia Pacing), 항생제 방출 주머니 (Antibiotic-eluting Envelope) 등의 중요한 주제들이 있으나 지면의 한계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ca14dd129ee358652e10d41d113d828f_1756283647_1602.JPG
부정맥 질환 환자에게 무선인공심장박동기 시술을 시행하는 모습


1) 심장 전도계 조율 (Conduction System Pacing)

심장 전도계 조율은 실제 전도와 가깝게 조율하자는 전략으로 박동기 개발 초창기부터 연구진들이 꾸준히 이상적으로 주창했던 목표입니다.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으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 이뤄지기엔 어려움이 있었는데 수년 전부터 좌각 영역 조율(Left Bundle Branch Area Pacing)이라는 개념으로 정립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우심실 조율(Right Ventricular Pacing)과 달리 좌각 가지를 포착하기 위해 좌심실 중격에 깊게 나사처럼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술이 진행됩니다. 이 기술의 장점은 기존의 우심실 조율에 비해 보다 더 생리적 조율에 가깝게 심실의 전도지연을 교정할 수 있어, 심부전의 예방 및 치료에 좋은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심장 전도계 조율에 도움을 받는 환자군이 점차 늘어가는 추세여서 앞으로 서맥성 부정맥 및 심부전 치료에 점점 더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624da69eb4dc55553d9b79b385232c2a_1755735471_0136.jpg
심장 전도계 조율 (Conduction System Pacing)

2) 무전극선 심박동기 (Leadless Pacemaker)

소형화된 심장 내 무전극선 심박동기가 국내에 도입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이 장치는 대퇴정맥을 통해 경피적으로 삽입되고 우심실 벽에 직접 이식됩니다. 이러한 조율 방식은 전통적인 심박동기의 주머니(pocket) 및 정맥 내 전극선과 관련된 문제를 원천적으로 없애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여러 전향적인 연구에서 삽입 성공률이 높고, 삽입 시와 후속 검사 시 모두 적절한 전기적 결과가 나타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 몇몇 연구에서 기존의 심박동기와 비교할 때 전체 생존률은 같으나, 감염 등의 합병증은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향후에 현재의 무전극선 조율의 잠재적 이점에다 100% 방실 동기화, 배터리 문제의 극복 등이 이뤄진다면 표준 DDD 심박동기의 대체재가 될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624da69eb4dc55553d9b79b385232c2a_1755735582_7752.jpg
무전극선 심박동기 (Leadless Pacemaker)


3) 원거리 모니터링 (Remote Monitoring)

저희 병원에서 심장 내 전기장치 시술을 하신 분 중에는 거동이 불편한 노년층이나 낙도에 홀로 거주하시는 분, 수년 전에 경험했듯이 코로나 대유행처럼 병원 자체에 오기 힘든 상황들이 많습니다.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환자가 직접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도, 심장 리듬 상태, 배터리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의료진에게 전송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조기에 부정맥, 전극선 이상, 배터리 고갈을 발견하여 의학적인 대처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624da69eb4dc55553d9b79b385232c2a_1755735610_2816.jpg
원거리 모니터링 (Remote Monitoring)


본원 순환기내과에서는 기존의 시술 방식에 더해 상기 3가지 새로운 방법들을 최근 1~2년 사이에 도입하고 있습니다. 

아직 최신 버전 기기의 소수의 환자들만 적용하고 있지만, 점차 새로운 시도들로 과거보다 더 환자들의 의학적 필요를 채워가려고 합니다. 

순환기내과 임영민과장
  • 전문분야

    부정맥, 전극도자절제술, 인공심박동기 및 자동제세동기 삽입술, 실신, 심부전증, 심방세동 및 조동, 발작성 빈맥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진료일 안내 표 : 월요일 부터 일요일까지 오전과, 오후 예약가능여부를 안내합니다.
구분 예약
오전 진료 진료 진료 바로가기
오후 진료
  • 진료 특이사항

    2025-09-04 ~ 2025-09-04 (휴진) 종일

    2025-09-19 ~ 2025-09-19 (학회,휴진) 종일

약력 내용시작

현 성가롤로병원 순환기내과 과장
현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외래부교수

차의과학대학교 의학과 학사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내과학 석,박사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내과 수련

[경력사항]
분당차병원 심장내과 전임의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임상연구조교수
안양샘병원 순환기내과 진료과장 및 내과부장

[학회활동]
대한심장학회 정회원
대한부정맥학회 전문회원

2016년 부정맥 연구회 YIA Competition 발표
2017/2018/2019년 추계 심장학회 구연 발표
2018년 추계 심장학회 일반연구비 선정
2018년 SPAF 심포지움 연자
2019/2020년 동계 KHRS 학술대회 연자

연수 및 연구경력 내용시작

[연구및논문실적]
- Body Mass Index Variability and Long-term Risk of New-Onset Atrial Fibrilla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A Korean Nationwide Cohort Study.; Mayo Clin Proc. 2019 Feb;94(2):225-235
- Delayed left atrial appendage contrast filling in computed tomograms after percutaneous left atrial appendage occlusion; J Cardiol. 2017 Dec;70(6):571-577.

- Serial measurements of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prognostic value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treated with a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Coron Artery Dis. 2017 Dec;28(8):690-696.

- Focal atrial tachycardia arising from the inferior vena cava; Yonsei Med J. 2017 Jul;58(4)884-887.

- Clinical implication of an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prehypertension related to new onset atrial fibrillation in a healthy Asian Population without underlying disease: a nationwide cohort study in Korea.; Eur Heart J. 2017 Sep 7;38(34):2599-2607.

- Association of insulin resistance and coronary artery remodeling: an intravascular ultrasound study; Cardiovascular Diabetology 2015 Jun 6;14:74.

논문 및 학술자료 내용시작

관심연구분야 내용시작